Tag Archives: 김혜남

[Book Story]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 김혜남 (갤리온)



서른살이 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나의 20대와는 얼마나 다를까.
이십대의 끝에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해본다.
나의 20대는 서른을 맞이하기에 충분히 경험하고 충분히 고민했는지.
아무런 상처도 고민도 없이 30대를 맞는다면 분명히 힘들어질 것이라는 걸 어렴풋이 느낀다.
그러기에 나는 충분히 많은 것을 얻고 가는 것일까.
 
많은 사람들이 20대를 혼란과 방황의 시기라 부른다.
10대를 질풍노도의 시기라 하는데, 20대 역시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10대는 부모님의 품 안에서 멋진 20대를 준비하는 시기다.
그 토대 위에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만나고,
부모님의 힘이 아닌 나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는 법을 20대에 배운다.
사랑이든 일이든, 스스로의 힘으로 잘되든 못되든, 해보는 것.
그걸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 20데에 성공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20대가 이룰 수 있는 성공은 그리 많지도, 그리 깊지도 않다.
일희일비 하지 않고, 내가 꿈꾸었던 목표를 향해 달리는 연습, 그거면 충분하다.
 
책 속에서 많은 나를 찾을 수 있었다.
 명품의 허영에 들떠있진 않은지,
어릴 적 품었었던 이상과,
한 때 훌륭했던 나의 모습을 아직도 간직한 ‘조명효과’에 사로잡히진 않았는지.
그로 인해 아파했던 내 모습이 보였다. 그것 뿐 아니겠지만, 가슴 한편이 저릿하고 짠해왔다.
한권의 책으로 위로를 받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나만’ 그런게 아니라는 조금의 위안.
그거면 책 읽은 보람이 있다 말할 수 있지 않을까. 




(* 본 리뷰는 happyfunky님의 허락을 받고 게시되었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happyfunky

[Book Story] 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 – 김혜남 (걷는나무)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의 속편이다.
 속편은 원편보다 재미가 없을 수 있다는 걱정과 원편의 즐거움을 이어가리라는 기대 속에서 처음을 맞는다. 
이 책은 그럭저럭 괜찮은 내용이었다. 
  
‘똑바로 보기’ 
이 책의 주제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렇다. 
심리학은 대게 알고 있는 것처럼, 사람의 마음을 치료하기 위한 학문이지만, 사실 심리치료라는 것은 누구의 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답을 찾아갈 때 진정한 치료의 의미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리학의 기본은 ‘자기 자신을 얼마나 똑바 른 시각으로 건강하게 바라볼 수 있느냐’ 이다. 자기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면 백약이 무효요, 쇠 귀에 경 읽기가 딱 이 짝인 셈이다.  
  
50개가 넘는 Chapter 에서는 삐뚤어진 자기 통찰에서 벗어나고, 자기가 가진 편견과 이미지에서 벗어날 것을 말한다. 즉, 그 동안 ‘예뻐야 하고, ‘성공해야’ 했던 강박적 자아에 대해 일단 내려놓고, 그저 내가 어디쯤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것을 책을 읽어나가는 내내 말하고 있다. 어떤 처방이 있기 이전에, 자기 스스로 치유력을 높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나를 이해하는 것. 그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역시 잊지 않고 말해주는 것은, 
‘당신은 지금도 충분히 멋지다’ 라는 위로의 말들.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절하해버리는 우를 범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그래.. 나는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으니까. 
  
전편보다는 조금 학문적 내용이 많지만, 그렇게 어렵지는 않은 책. 



(* 본 리뷰는 happyfunky님의 허락을 받고 게시되었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happyfunky
저작자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