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경제용어

구주매출이 어떤 뜻인가요?

아래 글은 voeasy.com 에서 작성된 글인데 voeasy.com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많은 분들이 찾으셔서 이 곳에 다시 걸어둡니다. (원문 https://voeasy.com/blackhole/24102/ )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에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 Mauritius, Africa


안녕하세요? ^^

GS리테일 상장관련해서 기사를 읽다보니

“이번 GS리테일 IPO는 LG상사의 ‘구주매출’로만 이뤄졌다.”

라는 말이 있더라구요.

근데, 그 ‘구주매출’이 어떤 뜻인지 몰라서요.

아시는 분 좀 설명해 주세요~ ^^

날씨 많이 춥지만 따뜻한 주말 되세요!

chocolate’s lounge


안녕하세요?

whoswho입니다.

[구주매출]

대주주나 일반 주주 등 기존 주주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주식 지분 중 일부를

일반인들에게 공개적으로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주매출은 양도인에게는 투자금을 회수한다는 의미가 있고,

양수인에게는 주식 투자, 지분 참여 등 경영권 인수에 의미가 있지요.

[신주매출]

신주매출은 위의 구주매출과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회사가 새로 주식을 발행하고 다른 주주가 이를 취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주매출 방식은 기업이 새롭게 발행한 주식을 상장하고

반대급부로 투자금을 받는 형식이기 때문에 많은 자금이 회사로 유입됩니다.

하지만,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만큼 해당 기업의 총 발행주식이 많아져서

기존 대주주의 지분율이 하락하게 되고 지배구조가 흔들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chocolate님께서도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whoswho’s lounge 2011.12.16

안녕하세요?

whoswho님께서 잘 설명해주셨네요. ^^

구주매출을 하는 이유로 크게 2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기업의 소유구조를 분산시킨다.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지분이 일정수준

널리 분산되어 있어야 한다는군요.

그래서 대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을 시장에 내다 팔고

소유구조를 다변화 시킨다고 하더라구요.

2. 자본조달

기업이 자본조달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고, 주식을 발행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구주매출을 통해 자본조달을 할 수도 있는데요.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시가로 팔게 되는데

액면가로 자본조달 되어 있는 것을 시가로 팔게 되니까

차익이 발생하게 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합니다.

거꾸로, 시가가 액면가보다 낮은 기업(많지 않은 경우겠지만요)은

결코 시도하지 않을 방법이기도 하지요.

이번 LG상사의 구주매출을 통한 GS리테일 IPO(기업공개)는

기존 2대주주인 LG상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31.97%(2461만8240주)

가운데 20%인 1540만주에 대한 구주매출로만 이뤄졌습니다.

어제로서 공모청약이 마무리되면서 LG상사는 3003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이는 LG상사가 올 해 2분기 기록한 영업이익 523억원의 5.74배에 이르는 금액입니다.

이번 GS리테일 공모 이후 LG상사 잔여지분은 11.97%로

보호예수기간이 상장일로부터 3개월로, 내년 4월부터

LG상사는 GS리테일 남은 물량에 대한 매매가 가능해집니다.

현재, GS리테일 공모가가 유통업계평균 주가수익비율(PER) 12.4배보다

높은 수준이라 상장 이후 추가 상승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GS리테일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LG상사의 남은 물량도 추후 GS리테일 주가에

일정부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katherine 201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