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중2가 되는데요 주식을 공부하려면 주슨 자료를 봐야하나요?

아래 글은 voeasy.com 에서 작성된 글인데 voeasy.com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많은 분들이 찾으셔서 이 곳에 다시 걸어둡니다. (원문 https://voeasy.com/blackhole/26457/ )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에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 Mauritius, Africa


주식에 관심이있는 한 중학생입니다. 이제 곧 중2가되는데요 주식을 공부하려면 무슨 자료를 봐야하나요? 책같은걸 읽어야하나요?

lhu508 2012.1.20

투자기법 좀 알려주세여 “와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네요.

기본적투자/기술적투자/경제신문 등을 잘 살피시고,

다양한 지식을 쌓다보면 주식에도 감이 오실 때가 있을실 것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viligy’s lounge 2012.1.23

중2면, 회계사를 목표로 경제학과 진학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차트,거래량 수급 이런거 볼때가 아닙니다..

철저하게, 공부하세요!!!

그게 가장 정석일 듯 싶습니다.

투데이엔 2012.1.25

저도 중딩이라면 일단 공부에 올인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짜투리 시간에 경제신문을 읽어보세요….

그것도 매일매일 또박또박…그러다보면 사회 돌아가는 분위기도 좀 알게되고…

그 담에 포트폴리오 해보는것도 과이 늦지 않는길이라고 생각합니다……

 rotjrqja’s lounge 2012.1.27

제가 요 밑의 투자기법 좀 알려주세여 도 답을 달았는데,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중학생이기때문에 주식 투자를 하면 안되고, 학교 공부나 열심히해라 가 모범 정답일까요?

경제 신문을 꾸준히 읽는 이유가 세상 돌아가는 분위기를 알기 위해서인 것 처럼

중요한 것은 학교 공부에서만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은데요?

주식 투자에 올인 하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겠지만,

틈틈이 지금까지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장기)투자를 한다면

세상 이치를 아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중학교 2학년의 앞 날은 너무도 찬란하기때문에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다른 것을 등한시하고 투자에 올 인하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지만

세상 돌아가는 것, 경제 이런 것을 익히면서 (모의)투자를 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생각합니다.

또 부담없이 할 수 있는 것이 모의투자의 묘미 아닐까요?

viligy’s lounge 2012.1.27

우선 viligy님께서 오해가 있는것 같아서 글을 적습니다.

저나 rtjrqja님의 말씀이 중학생이기때문에 주식 투자를 하면 안되고,

학교 공부나 열심히해라는 말이 아닌것 같습니다. rtjrqja님께서도 경제 신문을 언급하셨으니..

질문자체가 주식공부를 하려면 무엇을 봐야 하는지 였습니다.

많은 투자자 분들께서 장기투자, 가치투자 말씀하시면서, 재무재표 하나도 제대로 보시는 않고

투자하시는 분들이 대다수 입니다. 머 봐봤자..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정도??

요즘에야 EPS나 PBR, BPS도 다 나오니깐.. 이러한 모든 수치는 현재치이지 미래치가 아닙니다..

단적으로 환율과 환차손익과 환산손익의 차이만 알아도, 외만한 수출관련 주들의 실적을 가지고도

다음분기 어닝에 반영되게 되는데…

그리고 K-GAAP 과 K-IFRS는 무엇인지.. 회계기준에 따른 실적발표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목표주가 산정을 어떻게 하는것인지…

배워야 할것이 산더미입니다. 회계쪽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면,

주식에서 큰힘을 가지게 됩니다…

지금 중2이면, 제가 적은 말이 전혀 이해가 안될 것 같지만

제가 아는 몇몇 분들의 자녀분들은 비슷한 연령에 깊게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워렌버핏이 거대한 돈을 버는것은,

성장성 있는 기업에 대한 투자 그리고 해당기업이 위기일때, 적절한 타이밍 등이었습니다.

워렌버핏은 이러한 기업 분석하고, 자신이 수급의 주체가 되어 들어갑니다.

아시겠지만, 워렌버핏이 방한하여, 모 코스닥 기업에 투자했다..

그럼, 주가는 어케되나요? 워렌버핏 효과가 발생합니다.

중2면 저같이 수급을 따라 들어가는자가 아닌,

워렌버핏처럼 수급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될수 있습니다.

사실 워렌버핏도 과거 였기에 가능했다고는 보여집니다만…

현재 주식시장은, 예전보다 돈벌기가 쉽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빠르게 시장은 효율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도 CNK 사태같은 일이 버러지고는 있지만…

기업에 발생하는 모든일들이 빠르게 기업가치에 반영되어 주가가 움직이게 될것입니다.

그럼 결국은, 회사의 실적이 좋아져야만, 투자자와 회사 모두가 윈윈하는 시대가 올것입니다.

철저히 고평가되면, 공매도가 나오는게 맞고,

고평가여도 주가가오르면, 분명 무엇인가의 가치가 반영되고 있는 것이겠죠.

제일 중요한건 펀더멘탈입니다!!!

제가 현재 10억을 운용하더라도.. 지금 질문하신 분보다 부족한게 있다면, 시간입니다….

제가 질문자와 같은 중2라면, 향후 몇년 뒤에, 주식으로 돈을 벌기 위해, 배움을 택할 것이고,

경험상, 회계쪽을 관심가지고 공부하면, 가장 큰 도움이 될것이라 이렇게 글을 적습니다.

제가 관련 계통 일을 하고, 별도로 회원들의 매매를 리딩도 하고있지만,

왜 해당기업을 투자해야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나, 객관적인 수치로 설명할 수 있어야 리딩도 따라옵니다.

사실, 현재 대부분이 재료와 수급위주라 부끄럽기도 한데..

때문에 더더욱 공부가 중요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두서가 없지만.. 정리해서 말하면,

현재 중2라면, 지금이 아니면 못하는 것들, 친구들과의 사귐! 등이 첫번째이고

현재 관심은 주식이지만, 나중일은 모르는 것입니다. 때문에 학교공부에 충실해야 한다는점.

그리고 나서 남들보다 관심을 가지고 주식을 위한 준비로써 경제,회계 등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투데이엔 2012.1.29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