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주식용어] EV/EBITDA 란?
안녕하세요~
앞서서 EPS와 PER에 대해서 알아 보았었는데요!
PER보다 정확한 지표라는 EV/EBITDA!! 이것을 보고 투자하라는데.
….. 근데그게뭐지? 이러시면 안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EV/EBITDA에 대해 적어봤어요.ㅎ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EV란 무엇이냐?
영어로 Enterprise Value의 약자로, 기업가치를 뜻해요.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을 더한 값으로, 특정 기업을 매수시에 필요한 금액이에요.
보통 그 기업의 자산가치, 수익가치, 상대가치를 고려해 결정되는데,
단순하게 미래수익 창출능력을 현재가치로 환산해 산출한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EBITDA는?
영어로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등을 빼기 전의 순이익을 뜻해요.
감가상각비 같은 비현금적 계산을 제외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기업이 창출한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이익을 계산하기 위해 나온 수치에요.
순수하게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드리는 현금창출 능력을 뜻하는 거죠.!
왜 이런 수치를 쓰냐구요?
순이익 같은 회계적인 이익은 실질적으로 창출된 경제적 이익과 현금흐름을 반영하지 못해요.
실질적으로 얼마나 벌고, 손해를 보았는지에 대해 정확한 시간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거죠.
이런 이유 때문에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지표를 이용하는 거에요.
종합해보자면 EV = 기업가치, EBITDA = 현금창출능력!
그렇다면 EV/EBITDA란??
EV/EBITDA는 말그대로 EV를 EBITDA로 나눈 값이에요.
기업가치가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이 몇배인가~를 말해주는 지표인 것이죠!
예를 들어, EV/EBITDA가 3배라면? 내가 이 기업을 EV 값으로 매수했을 때,
이 기업을 통해서 3년 만에 투자원금을 창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단, 일정한 EBITDA를 유지한다는 전재가 있을 시의 이야기에요~)
이 수치는 기업의 수익가치와 기업가치를 비교해 본 것이니
이 비율이 낮다면? 기업의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PER과 마찬가지로 높낮음의 기준은 경쟁업계의 EV/EBITDA로 보시면 되고요. 😀
앞서 언급한 것 과 같이 EV/EBITDA는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지표이기 때문에,
PER보다는 좀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한 지표에요.
때문에 PER을 보실 때, EV/EBITDA를 함께 참고하면서 본다면 좋겠죠~
하지만 이 수치도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했다는 점,
또 상대적인 수치라는 것.. 염두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위의 글은 voeasy.com 에서 작성된 글인데 voeasy.com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많은 분들이 찾으셔서 이 곳에 다시 걸어둡니다. (원문 https://voeasy.com/blackhole/14020/ )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에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