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백을 사는게 이득일까? 삼성전자 주식을 사는게 이득일까?

아래 글은 voeasy.com 에서 작성된 글인데 voeasy.com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많은 분들이 찾으셔서 이 곳에 다시 걸어둡니다. (원문 https://voeasy.com/blackhole/12547/ )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에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여행의 시작 – Arrangy.com | Mauritius, Africa


샤넬백을 사는게 이득일까? 삼성전자 주식을 사는게 이득일까?

요즘 명품이 예전보다는 많이 대중화 되어 있기도 하고

주변 여성분들 보면 기본적으로 한 개씩은 갖추고 있거나

또는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 명품백인 것 같습니다.

그만큼 명품에 대한 관심도가 예전보다 높기도 하고

명품백이나 기타 다른 명품등을 사서 재테크를 한다는 말도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습니다.

저도 갖고 싶은 명품백 wish list만 해도

줄줄이 비엔나 소시지 만큼은 되니까

(아직까지는 그저 wish list에만 올라 있네요. ㅠ.ㅠ)

명품은 늘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었지요.

게다가 웬만큼 그에 대해 아는 것도 많다고 나름 자부하고 있던 찰나,

갑자기 머리를 탁! 치며 궁금해 지기 시작한 겁니다.

” 정말 명품 재테크가 유용한 것일까? 

샤넬 백 하나 사두는게 삼성전자 주식 몇 주 사두는 것보다 유용한 것일까? “

에 대해 갑자기 미친 듯이 궁금해 지기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원래 궁금한 것은 잘 못 참습니다.

그래서 당장 비교해 보고, 계산해 볼 수 있는 자료들을 뒤지기 시작했죠.

물론, 복잡한 계산이나 기타 이것저것 많이 고려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비교해 보기로 한 겁니다.

82ca5004

이 백은 샤넬 2.55 빈티지 점보백으로서,

이 가방이 2009년 여름에 460만원에 판매되었습니다.

그 동안 세 차례 정도 올라서 올해 5월부로 698만원이 된 가방이지요.

이 가방을 간단하게 수익률 계산을 해보면 51.7%가 됩니다.

같은 시기 삼성전자 주가와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요?

2009년 7월 첫째 주, 삼성전자 주가 평균이 635,500원입니다.

오늘 주가가 877,000원이니까 수익률 계산을 해보면 38%가 됩니다.

샤넬 백 수익률 51.7% > 삼성전자 주식 수익률 38%

물론 실제 수익이라는 것은

주식이든, 가방이든 되팔아야 이득이 생기는 것이고

가방의 경우 완전히 사용하지 않은 신품이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격적으로 discount 되는 것도 고려해야겠지요.

(그러나 샤넬 백의 경우, 상태만 좋으면 사실 중고시세도 높게 형성됩니다.ㅠ.ㅠ)

단순무식하게 비교해 본거라 절대적인 무엇이라 볼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가격이 오르는 속도를 봤을 때

지금 샤넬 백을 사는게 이득일까? 내년에 살까?

지금 삼성전자 주식을 사는게 이득일까? 내년에 살까?

를 고민할 때 이 속도라면 샤넬 백을 사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되지 않을까 하는 정도의 얘긴 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갑자기 든 생각을 읊어봤네요. ^^

저는 삼성전자 주식도 좋고, 샤넬 가방도 좋고 그렇네요.

삼성전자 주식도 명품주식이라 할 수 있으니까요.

삼성전자 주식이 100만원 뚫고 훨훨 고공비행 좀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행복한 하루 되세요~

katherine 2011.6.8

이힛~ 은근히 공감되네요. ^^

이것도 명품 재테크라면 저도 주변에서 명품 재테크 본 적 있어요.

2009년도이던가? 정확한 연도는 잘 기억이 안나요.

루이비통에서 다미에 네버풀이라는 제품이

일본에만 독점적으로 런칭되었던 적이 있었어요.

그 당시 다미에 네버풀 MM 사이즈 가방 가격이

우리나라 돈으로 환산하면 75만원 정도 되었던 것 같아요.

근데 우리 나라엔 런칭 안되었고

런칭된 가방 사진을 본 우리나라 사람들은 죄다 일본 구매대행이니

직접 일본여행을 가서 사기도 하고 아주 열풍이었더랬죠.

제 아는 언니도 일본 여행가는 동생한테 부탁해서

75만원에 사와서 100만원에 국내에서 팔더라구요.

그 때 100만원이면 정말 가격 저렴하게 판 거였거든요.

구매대행 값이 110만원 정도 했었으니까요.

25만원 앉은 자리에서 벌었죠.

게다가 사서 내놓기만 하면 죄다 팔릴 만큼

그 가방 열풍이었으니까요.

지금은 그 가방이 전세계에 다 런칭되어 풀려서

우리나라 돈 105만원인가? 주면 사는 걸로 알고 있어요.

40%정도 오른 가격이지요.

그 때 75만원 주고 일본에서 산 사람들은 돈 벌었다고 생각할거에요.

지금은 105만원 정도 줘야 사니까요.

그런게 명품 재테크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

루이비통이나 샤넬이나 걸핏하면 가격 올리는 애들이라서

정말 필요하고, 갖고 싶으면 나중에 사야지, 라고 생각하기 보다

그 시점에 사는게 가장 잘 사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나중에 돈 더 올라서 배 아파할 일은 없으니까요. ^^

저도 katherine님처럼 위시리스트는 잔뜩인데..헤헤!

언제쯤 사게 될지…ㅠ.ㅠ

암튼, 반가운 마음에 글 적고 가네요. ^^

종종 좋은 글 많이 올려주세요~

leeloveu 2011.6.8

샤넬백 하니 생각나는 것이,

지금이야 물가 상승률이니 뭐니 그런거 반영해서 가격을 올린다지만

예전에는 그냥 올린 적도 있었다는 얘기 들은 적이 있어요.

칼 라거펠트가 샤넬 백이 너무 흔해졌다고

가격 올려버리라고 얘기해서 올린 적도 있다던데…

소문이라지만 웬지 사실일 것 같다는..^^

재미있는 글이네요.

잘 봤습니다. ^^

optimusprime 2011.6.8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